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궁금한이야기

천년고찰 고운사, 아름다운 역사와 안타까운 산불 피해 안녕하세요, 여러분. 스파키로그입니다! 오늘은 경상북도 의성군에 위치한 천년고찰, 고운사에 대해 이야기해보려고 해요. 오늘(25일) 안타까운 산불 소식으로 많은 분들이 마음 아파하고 계실 텐데요. 고운사의 역사와 아름다움을 함께 되새겨보며, 그 가치를 다시 한번 생각해보는 시간을 가져보겠습니다.고운사 개요 • 위치: 경상북도 의성군 단촌면 고운사길 415 • 창건 연도: 신라 신문왕 원년(681년) • 창건자: 의상대사 • 기존 명칭: 가운사(嘉雲寺)고운사의 역사 고운사는 신라 시대인 신문왕 1년 681년에 의상대사에 의해 창건된 사찰로, 처음에는 ’가운사(嘉雲寺)’라는 이름으로 불렸어요. ‘가운’은 ‘아름다운 구름’이라는 뜻으로, 사찰이 위치한 곳의 아름다운 풍경을 상징합니다. 이후 여러 차례의 중.. 더보기
120년 만에 밝혀진 '겐카이마루(玄海丸)'의 숨겨진 역사 겐카이마루(玄海丸:현해환)는 1891년 5월 14일 영국 스코틀랜드 글래스고의 네이피어, 샹크스&벨(Napier Shanks & Bell, Glasgow Sno.53) 조선소에서 건조된 화물여객선입니다. 선박번호는 1256, 신호는 HJKD이며 무게는 1427톤, 길이는 71.63m, 폭 10.06m, 깊이 6.80m로 기록되어 있습니다. 최초 소유자는 일본우선공사(日本郵船社, 도쿄)였습니다.겐카이마루는 주로 일본 나가사키와 한국 인천(제물포항)을 오가며 승객과 화물을 운반했습니다. 이 선박은 특히 1902년 12월 22일 한국 최초의 공식 하와이 이민자 121명을 싣고 인천항을 떠나 나가사키로 향하면서 역사적 의미를 갖게 되었습니다. 나가사키에서 신체검사 후 최종적으로 101명이 미국의 태평양 횡단선 .. 더보기
새로운 희망을 찾아 떠난 121명, 한국인 하와이 이민사 이야기 안녕하세요 스파키로그입니다^^ 한국인의 이민, 어디가 최초였을까요? 바로 하와이라고 합니다. 여러분은 알고 계셨나요? ^^한국인의 하와이 이민사 이야기 시작할게요! 1902년 12월 22일, 한국 최초의 공식 이민자들이 하와이를 향한 역사적인 항해를 시작했습니다. 이 역사적인 여정은 인천 제물포항에서 일본 나가사키를 경유하여 하와이 호놀룰루로 이어졌습니다.당시 조선은 극심한 빈곤과 정치적 불안으로 많은 백성들이 어려운 생활을 하고 있었습니다. 농민들은 흉년과 과중한 세금, 부채로 인해 생활이 점점 어려워지던 중, 하와이 사탕수수 농장의 노동자를 모집한다는 소식을 듣고 새로운 희망을 갖게 되었습니다. 당시 미국과 하와이의 농장주들은 노동력 부족으로 인해 아시아 국가에서 노동자를 모집하고 있었고, 이 소식이.. 더보기
고려인의 디아스포라: 조선에서 러시아와 중앙아시아로의 이주 역사 안녕하세요! 스파키로그입니다! 여러분은 고려인을 아시나요? 이번 글은 코리안 디아스포라 고려인에 대해 함께 나눠 보고 싶어요~그럼 시작할게요! 고려인(코리안 디아스포라)은 조선시대부터 해외로 이주한 한국계 이주민을 의미해요.특히 19세기 후반부터 20세기 초반까지 러시아(구 소련)와 중앙아시아 지역으로의 이주는 역사적·정치적 요인과 맞물려 강제적으로 또는 자발적으로 이루어졌어요. 이번 글에서는 고려인의 이주 역사와 정착 과정, 그리고 그들이 겪었던 도전에 대해 자세히 살펴볼게요.1. 고려인의 러시아 이주 역사① 19세기 후반: 러시아 연해주로의 초기 이주 고려인의 러시아 이주는 19세기 후반부터 본격적으로 시작됐어요. 주요 원인은 다음과 같아요.조선의 정치·경제적 혼란: 조선 말기, 정부의 부패와 무능으.. 더보기
잊혀진 조선의 섬, 녹둔도의 소유권 논란 안녕하세요! 스파키로그입니다^^  오늘은 106주년 3·1절입니다. 저는 요즘 계속 읽고 있는 조정래작가님의 소설 을 보면서 궁금해진 주제들을 찾아보면서 공부하고 있어요. 현재 중국의 영토이지만 한 때는 조선의 영토였던 녹눈도! 들어보셨나요? 저는 이번에 처음 들었답니다! 잘 모르고 지나가는 역사적 사실들을 한 번 읽어주시면 좋을 것 같아서 올려봅니다. 그럼 시작할게요!녹둔도의 역사와 소유권 분쟁1. 녹둔도란? 녹둔도(鹿屯島)는 현재 중국 랴오닝성 단둥시 인근의 작은 섬이에요. 하지만 과거에는 조선의 영토였고, 군사적으로도 중요한 지역이었어요. 특히 조선 시대에는 여진족의 침입을 막는 전략적 요충지로 사용되었죠.2. 이순신 장군과 녹둔도 전투 녹둔도를 이야기할 때 빼놓을 수 없는 인물이 바로 이순신 장군.. 더보기
조선혁명군 총사령관 양세봉 안녕하세요! 스파키로그입니다. 요즘 조정래 작가의 아리랑을 읽으면서 일제강점기에 인물에 관심이 생겼어요. 조선혁명군 총사령관 양세봉장군에 대해 알아보았어요.양세봉(梁世奉, 1896~1934)은 일제강점기 조선혁명군을 이끌며 무장 독립운동을 펼친 독립운동가입니다. 특히 한·중 연합 항일 투쟁을 주도하며 영릉가·흥경성 전투 등에서 큰 승리를 거두었으며, 대한민국과 북한 모두에서 항일 영웅으로 평가받고 있습니다.1. 생애와 독립운동 활동양세봉은 평안북도 철산 출신으로, 3·1운동 이후 만주로 건너가 독립운동에 뛰어들었습니다.그는 대한독립군, 서로군정서 등 여러 항일 무장단체에서 활동하다가, 1929년 조선혁명당에 가입하여 조선혁명군 총사령관이 되었습니다.2. 조선혁명군과 항일 투쟁 • 조선혁명군은 1929년 .. 더보기
춘원 이광수(春園 李光洙, 1892~1950)의 일대기와 후세의 평가 안녕하세요! 스파키로그입니다. 오늘은 여전히 논쟁의 주제인 춘원 이광수에 대해 알아보려고 해요. 다양한 면모를 가지고 있는 춘원 이광수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1. 이광수의 생애초기 생애와 성장 이광수는 1892년 3월 4일 평안북도 정주에서 태어났습니다. 어릴 때 부모를 여의고 가난한 환경에서 자랐으며, 이후 오산학교에서 수학하며 근대적인 교육을 받았습니다. 1905년 을사늑약 이후 조국의 현실에 깊은 고민을 하였고, 일본 유학을 떠나 와세다 대학에서 수학하였습니다.문학 활동과 계몽 운동 이광수는 한국 근대 문학의 선구자로 평가됩니다. 그의 대표작 『무정』(1917) 은 한국 최초의 근대 장편소설로, 신교육과 근대적 사랑을 다루며 큰 반향을 일으켰습니다. 이외에도 『개척자』, 『유정』, 『흙』 등의.. 더보기
춘원 이광수의 후손들 소설가 춘원 이광수(1892~1950)의 후손들에 대한 정보를 알려드리겠습니다.가족 구성:• 첫 번째 부인: 백혜순• 아들: 이진근 (1914년생)• 손녀: 이정자• 두 번째 부인: 허영숙 (1895~1975)• 자녀: 2남 2녀• 장남: 이봉근 (1927~1934)• 차남: 이영근• 손녀: 이성희 (미국명 앤 리)• 장녀: 이정란• 차녀: 이정화 (1935년생)후손들의 활동:• 이정화 박사: 이광수의 막내딸로, 1952년 미국으로 건너가 생화학을 전공한 후 학자로 활동하였습니다. 이후 인도 출신 독립운동가 학자와 결혼하였으며, 2003년과 2014년에 한국을 방문하여 부친에 대한 회고와 가족사에 대해 인터뷰를 진행하였습니다.  https://www.chosun.com/site/data/html_dir/.. 더보기

반응형